KT&G(사장 방경만)가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주관 '2025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orea Brand Power Index, K-BPI)'에서 담배 부문 18년 연속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는 국내 소비생활과 밀접한 주요 산업을 대상으로 소비자 조사를 실시해 브랜드 인지도, 충성도 등을 지수화해 평가하는 공신력 높은 지표다. KT&G는 평가 항목 전반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브랜드 인지도 부문에서 업계 최고점을 획득했다. KT&G는 '에쎄(ESSE)', '레종(RAISON)', '보헴(BOHEM)' 등 소비자 니즈와 트렌드에 발맞춘 차별화된 제품을 통해 국내 담배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2017년에는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궐련형 전자담배 디바이스인 '릴 솔리드(lil SOLID)'를 출시했으며, 이후 '릴 하이브리드(lil HYBRID)', '릴 에이블(lil AIBLE)' 등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닌 디바이스 플랫폼을 선보였다. 사용자 경험과 취향을 고려한 하이테크 기술과 편의성이 장착된 '릴(lil)'은 전자담배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김혜
[서울=에듀앤인포] 2025년 봄, 글로벌 뷰티 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최근 해외 뷰티 전문 매체 Allure와 Vogue Beauty는 2025년의 뷰티 트렌드에 대해 심도 깊은 분석을 내놓았다. 자연미를 강조하는 '스킨 리얼리즘(skin realism)'에서부터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화장품, 환경을 고려한 '클린 뷰티(clean beauty)'까지, 올해 뷰티 시장은 기술과 감성이 공존하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1. 스킨 리얼리즘(Skin Realism): 과한 커버 대신 '있는 그대로' 지난 몇 년간 이어진 '글로우(glow)' 메이크업 트렌드는 2025년 들어 한층 더 진화했다. 스킨 리얼리즘은 피부의 잡티와 결점을 완벽히 가리는 대신, 있는 그대로의 피부 결을 살리며 자연스러운 텍스처를 강조하는 메이크업 트렌드다. 이는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필터 없는 아름다움(Unfiltered Beauty)" 문화와도 맞닿아 있다. 유명 메이크업 아티스트 리사 엘드리지(Lisa Eldridge)는 "완벽하게 커버된 피부보다 투명한 광택과 약간의 홍조가 오히려 사람들에게 신뢰감을 준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에듀엔인포 관리자 기자 | 2025년 미용 트렌드: 자연스러움과 혁신의 조화 2025년 미용 업계는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동시에 혁신적인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트렌드로 가득하다.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과 포인트 메이크업의 조화,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제품의 부상, 그리고 첨단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스킨케어 솔루션 등이 그 예다. 최근 공개된 다수의 2025년 뷰티 트렌드 전망에서 자연스러움과 포인트 메이크업이 핵심 포인트로 꼽혔다. 씨엘르 코스메틱(Ciele Cosmetics) 창립자인 니키 드로에스트(Nikki DeRoest)는 피플(People)지를 통해 "내년엔 자연스럽게 빛나는 베이스에 대담한 하나의 표현을 더하는 스타일이 주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피부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강조하면서도 실험적인 색상이나 모양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건 성분과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 '클린 뷰티' 제품이 주목받고 있으며, 리필 가능한 패키지와 유해 성분을 배제한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이는 환경 보호와 개인의 건강을 동시에 고려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
엘씨씨코리아는 2018년 말 부천도시공사와 천안시설공단의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용역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공공시설 유지관리 전문기관인 도시공사와 시설공단에서는 지난 2015년 이후 ‘생애주기관리에 입각한 공공시설의 유지관리체계 개선’과 ‘시설 안전성 확보’라는 목표 하에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이하 FMS)’ 도입을 필요로 하고 있다. 지난 2018년 6월부터 약 6개월 간 구축된 부천도시공사 Best-FMS는 부천도시공사와 엘씨씨코리아가 기술제휴를 통하여 시설정보관리, 도면/에너지관리, 생애비용예측, 점검계획관리, 공사진척관리, 임대관리를 개발했다. 특히 대쉬보드에서는 Open API를 활용하여 위치와 날씨 정보를 제공하고, 시설별 점검, 하자계획, 공사진척에 대한 종합현황과 에너지 사용량 정보 등을 제공한다. 지난 2018년 8월부터 약 100일 간 수행된 천안시설공단 C-FMS 구축사업은 건물 동별 실단위로 구분한 시설분류체계와 시설정보를 바탕으로 유지관리이력, 하자점검계획 및 결과를 관리하고 기 수립한 중장기계획 및 소요예산을 매년 업데이트하여 최신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난 2018년에 구축한 두 기관의